전체 메뉴
병원소개 - 공지사항 +
공지사항
  • 당뇨합병증·혈관질환자, 인공관절수술 부담이라면?
  • 2020-10-29 hit.5,023







A씨(65세, 여)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앉았다가 일어날 때 

무릎이 심하게 쑤시는 듯한 통증을 느껴 병원에 방문했습니다.

 A씨의 진단명은 ‘퇴행성관절염’. 

이미 연골의 상당량이 소실돼 인공관절수술이 필요한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선뜻 수술 날짜를 잡기 망설여졌습니다. 

당뇨병이 있어서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합병증으로 고생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앞섰기 때문입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퇴행하거나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관절을 움직이기 어렵고 연골의 소실과 변화에 의해 

운동 시 마찰음이 느껴지는 것이 대표 증상입니다. 

가장 흔한 노인병 중 하나이며 약물 투여 및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도해본 뒤 차도가 없을 때 

무릎 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노화로 인해 닳아 없어진 

연골 자리에 인공관절을 삽입해 통증을 줄이고 

무릎 관절의 운동 범위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치료입니다. 

허벅지에 전동 지혈대를 꽉 감은 뒤 

압박하여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혈대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술 과정 중 

출혈성 쇼크를 사전에 방지하고 

깨끗한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입니다. 

하지만 수술 부위의 근육, 신경조직에 산소 공급이 없어 

혈관 막힘으로 인한 부종, 다리 저림, 

찌릿함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지혈대를 감았던 부위에 피부 괴사, 

신경마비 후유증이 남는 사례도 있으며 

지혈대 사용이 수술 후 혈관의 혈전색전증의 

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당뇨병성 합병증, 척추 수술 병력 등으로 

말초혈관 및 말초신경 장애가 있는 경우 

수술 후유증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전과정 지혈대를 사용하지 않는

‘무지혈대 인공관절수술’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무지혈대 인공관절수술은 혈관을 압박하지 않고 

수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지혈대 착용으로 인한 

리스크가 전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술 부위에 피와 산소가 통하는 상태에서 

진행하므로 부작용, 감염 위험이 적고 

허벅지 및 다리 근육의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후유증 및 부작용 우려가 큰 당뇨병이나 

말초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도 안심하고 진행할 수 있습니다.


세란병원 인공관절센터 궁윤배 부장의 설명에 따르면 

무지혈대 인공관절수술은 미국 및 유럽에서는 

일찍이 시행되어 온 수술법이며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혈관 하나하나를 지혈하면서 수술해야 하고 

지혈대를 사용했을 때보다 시야가 나쁜 만큼 의료진의 역량이 중요합니다.













인공관절수술이 필요 없도록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꾸준한 운동으로 

하체 근육을 단련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관절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만큼 

조심해야 하며 양반다리, 무릎 꿇기, 쪼그려 앉는 자세는 

퇴행성관절염을 앞당길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게 바람직합니다.


만약 말기 퇴행성관절염까지 진행됐지만 

지병 때문에 인공관절수술의 부작용과 

긴 회복기간이 부담스럽다면,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의료진과 함께 

위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찾아보기를 권합니다.








  • 진료시간안내
    • 콜센터
  • 주소